윈도우 10(Windows 10)의 7가지 에디션 특징 윈도우 10이 곧 출시를 앞두면서 다양한 정보가 쏟아지고 있습니다.라즈베리파이2에 윈도우 10이 올라가는 소식도 이미 발표가 되었습니다.윈도우 10은 7가지의 에디션으로 출시가 될 예정입니다.향후 출시가 될 윈도우 10 에디션은 다음과 같습니다.1. 윈도우 10 홈 에디션(Windows 10 Home Edition)홈 에디션은 컨텐츠 소비 지향적인 사용자를 위한 윈도우 10입니다.개인용 PC와 태블릿에 탑재가 될 예정입니다.음성인식 비서인 코타나, 새로운 웹브라우저 엣지, 윈도우 헬로 등의 기능이 포함될 예정입니다.그 외에 터치 기반의 태블릿을 위한 컨티넘 모드(Continuum Mode)가 추가됩니다.또한 사진, 메일, 캘린더, 뮤직 등의 기존 기능도 포함됩니다.그리고 X-Box 라이브 게임을 지원할 .. 더보기 안드로이드 버전 확인 및 숨겨진 모드(게임) 안드로이드는 각각의 버전에 알파벳 순서의 디저트 이름을 붙이고 있습니다.현재의 버전인 5.0 버전에는 Lollipop(롤리팝, 막대 사탕)이라는 이름이 존재합니다.안드로이드의 버전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설명은 현재 사용중인 갤럭시 S5 기준입니다.먼저 설정에서 디바이스 정보 메뉴로 들어갑니다.아래와 같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버전 5.0이라고 된 곳에서 터치를 빠르게 여러 번 합니다.그러면 아래와 같이 안드로이드 버전을 볼 수 있는 숨겨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현재 롤리팝이기 때문에 막대 사탕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가 됩니다.lollipop이라고 버전이 적혀 있습니다.사탕에서 색이 다른 부분을 누르고 기다리면 숨겨진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위의 화면에서는 .. 더보기 [C++11] std::pair를 확장한 std::tuple Boost에 존재하던 tuple이 C++ 표준으로 채택되었습니다. C++ TR1부터 사용이 가능해졌지만 C++11에 분류한 것은 이전에 작성한 가변인자 템플릿때문입니다. tuple은 기존의 std::pair를 확장한 자료형입니다. std::pair가 2개의 값을 한 번에 저장할 수 있지만 tuple은 제한이 없습니다. 기존의 C++ TR1에서는 10개까지 저장이 되었습니다. tuple은 2개 이상의 값을 한 번에 반환하거나 전달할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물론 구조체를 통해서 가능한 방법이긴 하지만 구조체는 정의를 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tuple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다양한 값들을 한 번에 전달이 가능하게 됩니다. 예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 더보기 삼성, 갤럭시 S6 엣지 아이언맨 에디션 패키지 공개 삼성에서 갤럭시 S6 엣지의 아이언맨 에디션 패키지를 공개했습니다.이미 갤럭시 S6와 S6 엣지의 어벤져스 에디션을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있었습니다.먼저 아이언맨 에디션 패키지가 공개되었습니다.아이언맨 고유의 색인 빨간색과 금색이 어우러져 있습니다.어벤져스의 히어로들의 색이 대부분 독특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용하기 좋은 색인 것 같습니다.아래와 같은 어벤져스 테마도 공개가 되어 있습니다.일단 색깔이 어벤져스 영웅들의 색을 반영해서 나오면 역시 아이언맨이 가장 인기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이미지 상으로는 토르와 캡틴 아메리카의 색이 약간 겹치는 느낌입니다.실제로는 어떻게 출시될지 기대가 됩니다.그 외에도 개인적으로는 헐크의 독특한 녹색도 기대가 됩니다.개성있는 모습으로 곧 출시가 되기를 기다려 봐야겠습.. 더보기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 3 2015/05/08 - [Programming/Git] -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 2Git을 사용할 때는 보통 ssh를 통해서 인증을 하게 됩니다.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보다 더 간편하게 접속이 가능합니다.먼저 gitolite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su - gitolite 다음 명령어로 새로운 ssh 키를 생성합니다. ssh-keygen 그냥 엔터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됩니다.기본 경로는 home/gitolite/.ssh/ 이고 해당 경로 아래에 id_rsa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간단하게 ssh 키가 생성됩니다. 키는 public과 private 키가 한 쌍으로 생성됩니다.생성된 public 키를 git-repo로 전달합니다. scp /home/g.. 더보기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 2 2015/05/07 - [IT/컴퓨터/Linux] -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 1우분투에 Git을 설치하는 과정은 위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Git을 설치한 이후에 관리를 위해서 Gitolite를 설치합니다.먼저 root 계정에 접속한 상태에서 gitolite와 git-repo 계정을 생성합니다. adduser gitolite adduser git-repo 계정을 생성할 때는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이름 등은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이름 등의 정보는 그냥 엔터를 눌러서 스킵하면 됩니다.정보가 맞으면 Y를 눌러서 계정을 생성하면 됩니다. 동일하게 git-repo 계정도 생성합니다.생성된 gitolite 계정은 사용자가 저장소에 접근할 때 사용하게 됩.. 더보기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 1 우분투에 Git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입니다.먼저 root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su - 그 이후에 패키지 업데이트를 실행합니다. apt-get update 업데이트가 다 실행된 이후에 Git을 설치하면 됩니다.Git 설치는 간단하게 다음 명령어로 설치됩니다. apt-get install git 중간에 설치를 계속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Y를 누르면 됩니다.이것으로 Git의 설치가 완료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Gitolite를 설치해서 Git 서버를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합니다.Gitolite 설치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2015/05/08 - [Programming/Git] - [Ubuntu] 우분투에 깃 서버(Git Server) 환경 구축.. 더보기 [Ubuntu] VMWare에 우분투 설치 이후에 root 계정 활성화 VMWare에 우분투를 설치한 이후에 root 계정을 활성화하는 방법입니다.처음 root 계정을 접속하려고 하면 비밀번호가 인식되지 않습니다.passwd 명령어를 사용해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됩니다.먼저 terminal 을 실행합니다.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sudo passwd root 이후에 비밀번호를 물어보는데 VMware에 설치할 때 처음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그 이후에 설정할 비밀번호를 2번 동일하게 입력하면 됩니다.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는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그 이후에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root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su - 위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접속하면 됩니다. 더보기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99 다음